-->
BSECaMdor4jNzgL8QPWWRNPI3cgfSuhlQkIr80sl
Bookmark

84㎡, 59㎡, 114㎡ 아파트는 몇 평? | 타입별 장단점 분석

아파트를 선택할 때 ‘84㎡’, ‘59㎡’라는 숫자만 보고 평수라고 착각하거나, 판상형과 타워형의 구조적 차이를 깊이 고민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자녀가 있는 가족이나 장기 실거주를 고려하는 실수요자라면 이 숫자와 구조가 의미하는 바를 명확히 이해해야 만족스러운 주거 생활이 가능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아파트 평수 계산법, 제곱미터 개념, 타입별 장단점, 실제 활용 사례까지 꼼꼼히 분석합니다.

아파트 평수 계산법: 제곱미터와 평의 관계

아파트 분양 공고나 부동산 정보지에서는 보통 제곱미터(㎡) 단위로 면적을 표기합니다. 이를 평(坪)으로 환산하는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파트 평수 계산법과 구조 비교 일러스트
  • 84㎡ 아파트 → 84 ÷ 3.3058 ≈ 25.4평
  • 59㎡ 아파트 → 59 ÷ 3.3058 ≈ 17.8평
  • 114㎡ 아파트 → 114 ÷ 3.3058 ≈ 34.5평

👉 공급면적 84㎡: 전용 약 59~62㎡ (체감 18~19평)
👉 전용면적 84㎡: 실제 사용 25평대

※ 분양 정보를 확인할 때는 반드시 전용면적과 공급면적 비율을 체크해야 합니다.

제곱미터 개념 쉽게 이해하기

제곱미터(㎡)는 한 변이 1m인 정사각형의 면적을 의미합니다.

  • 전용면적: 방, 거실, 주방 등 우리 가족이 사용하는 공간
  • 공용면적: 엘리베이터, 복도, 계단 등 이웃과 함께 쓰는 공간
  • 공급면적: 전용 + 공용면적

따라서 실생활 체감 면적은 전용면적이며, 공급면적 84㎡라 하더라도 체감은 18~19평인 경우가 많습니다.

복도식 아파트가 좁아 보이는 이유

  • 한쪽 벽이 복도와 맞닿아 창문이 적거나 없음
  • 거실과 방의 채광·통풍이 판상형보다 불리함
  • 내부 폭이 좁아 가구 배치와 동선이 불편
  • 심리적으로 ‘답답하다’는 느낌을 줌

💡 계산법은 동일합니다. 복도식이라도 공급면적 ÷ 3.3058 = 평수 공식은 같습니다.
👉 하지만 체감 평수는 판상형보다 1~2평 작은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아파트 타입별 장단점

 🏢판상형

  • ✅ 남향 위주 배치로 채광·환기 우수
  • ✅ 구조 단순 → 가구 배치·인테리어 용이
  • ✅ 통풍과 열효율이 좋음
  • ❌ 복도식은 사생활 노출 우려

 🏢타워형

  • ✅ 다양한 방향 배치로 조망과 프라이버시 확보
  • ✅ 설계에 따라 고급스러운 단지 연출
  • ❌ 채광·통풍에서 불리한 세대 존재
  • ❌ 방사형 구조로 체감 면적이 작음

타워형 + 어린 자녀 2명 이상 가정 활용 사례

실제 사례: 경기권 A단지 (타워형 32평)

  • 부모는 작은 방에 수면 공간 마련
  • 안방을 자녀 놀이방 + 가족 학습실로 활용
  • 거실과 연결된 발코니에 미니 화단·물놀이 풀 설치
  • 부모 시야 안에서 아이들 활동 가능

안방을 놀이방으로 쓰면 좋은 이유

항목장점
넓은 공간장난감 수납과 놀이기구 설치 용이
채광·환기큰 창으로 쾌적한 환경
동선 안전성부모 시야 안에서 놀이 가능
가변성사춘기 이후 학습방·개별방 전환 가능

*영유아는 화장실 접근성이 높을수록 배변 훈련이 수월합니다. 저 역시 안방을 놀이방으로 활용하면서 훈련이 훨씬 편리했습니다.

실수요자 아파트 선택 핵심 체크리스트

항목내용
면적전용면적 기준 확인 (공급면적과 혼동 금지)
타입가족 수·생활 패턴에 맞는 구조 선택
채광·환기거실·아이 방 남향/남동향 권장
수납팬트리, 드레스룸, 현관장 여부 확인
동·호수동간 거리, 조망권, 소음 수준 체크

정리

아파트 평수 계산은 단순 숫자가 아닌, 실제 체감 공간 이해가 핵심입니다. 자녀가 있는 가정은 채광·안전·놀이 공간 가변성을 우선시해야 하며, 타워형이라도 안방을 놀이방으로 전환하는 창의적 활용으로 쾌적한 주거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참고 사이트

  • 국토교통부 부동산공시가격
  • 부동산 실거주 경험 블로그 모음
Dengarkan
Pilih Suara
1x
* Mengubah pengaturan akan membuat artikel dibacakan ulang dari awal.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