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SECaMdor4jNzgL8QPWWRNPI3cgfSuhlQkIr80sl
Bookmark

여의도 제2세종문화회관, 복합문화도시의 미래! 아이들을 위한 공간은 얼마나?

여의도 제2세종문화회관 건립! 세계적 건축사 참여, 아이 위한 교육·문화 공간, 부동산·경제 효과와 준공 일정까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서울 여의도에 제2세종문화회관이 들어설 예정입니다.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한 공연장 건립을 넘어, 한강과 여의도를 잇는 도심 속 복합문화 공간으로 설계되어 부동산, 경제, 관광, 교육적 가치 모두를 끌어올릴 핵심 랜드마크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착공 위치와 설계 공모 개요

제2세종문화회관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공원로 68, 여의도공원에 건립됩니다. 서울시는 2025년 8월 5일 국제 지명 설계공모를 공고하며, 세계적 수준의 복합문화공간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총 연면적은 66,000㎡, 예정 공사비는 약 4,014억 원으로 책정되었습니다. 해당 부지는 여의도공원 북서측에 인접하여 지하철과 버스 접근성이 뛰어나며, 한강과도 가까운 입지입니다.

공모작 및 참가팀 소개

여의도 제2의 세종문화회관의 당선작과 이미지와 도면 그리고 기획
▲한강과 여의도를 품은 제2의 세종문화회관의 모습은? (출처:서울시 공식홈페이지)

  • ㈜디자인캠프문박디엠피 (DMP)
  • ㈜범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 DÜRIG AG (스위스)
  • Zaha Hadid Architects (영국)

각 팀은 공연장, 전시관, 교육 공간, 한강 조망 휴게 공간을 복합 배치한 설계를 제안하며, 지속 가능한 친환경 건축과 시민이 일상 속에서 문화를 누릴 수 있는 구조를 지향합니다.

건축사별 설계 철학과 특징

참여한 건축사들은 서로 다른 철학을 기반으로 도시와 아이들을 위한 공간을 구상했습니다.

  • DMP: 공원과 건축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Sky Foyer’ 개념. 장점은 대규모 광장과 상징성, 단점은 유지관리비 증가 가능성.
  • 범건축·희림: 타원형 교차 구조, ‘THE SPARK’ 콘셉트. 장점은 접근성과 개방성, 단점은 공사 난이도와 예산 초과 우려.
  • Zaha Hadid Architects: 한국 정원 양식과 자연 곡선미 반영. 장점은 국제적 위상과 교육·체험 확장성, 단점은 설계 복잡성과 건설비 상승.
  • Dürig AG: 유리 박스형 투명 구조, 친환경 지향. 장점은 개방성과 투명성, 단점은 한국 기후(장마·혹한)에 취약.

규모, 예산, 준공 일정

서울시 발표 기준, 제2세종문화회관은 지상 5층, 지하 3층 규모로 조성되며, 2025년 하반기 설계안 심사를 거쳐 2026년 착공, 2028~2030년 공을 목표로 합니다. 총 사업비는 약 4,000억 원이며, 당선작은 설계계약 협상권을, 나머지 참가작은 보상비 1억 원을 받게 됩니다.

여의도·마포·영등포에 미칠 부동산·경제 효과

여의도는 금융과 방송 중심지였지만 생활·교육 인프라 부족으로 지적되어 왔습니다. 제2세종문화회관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불러올 전망입니다.

  • 문화 인프라 확충으로 인한 주거 매력 상승
  • 마포·영등포와 연계된 관광 루트 형성
  • 상권·숙박·외식 업종 매출 증대

자녀와 함께 누리는 문화·교육 프로그램의 미래

완공 후에는 공연 예술뿐 아니라 아동 체험형 교육관, 청소년 예술 캠프, 가족 참여형 워크숍이 예정됩니다. 아이들이 예술과 자연을 동시에 체험하며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이자, 시민 누구나 쉽게 접근해 여가와 학습을 함께 즐길 수 있는 복합문화 교육 거점이 될 것입니다.

여의도 제2세종문화회관 조감도와 복합문화도시 개발 이미지

사비맘의 바람과 시민의 희망

아이와 함께 여의도공원을 산책할 때마다, 앞으로 이곳에서 공연을 보고 전시를 체험할 모습을 그려봅니다. 치열한 입시 경쟁 대신, 문화와 예술 속에서 배우는 시간이 많아진다면 아이들에게 더 큰 선물이 되지 않을까요? 서울의 중심이 단순히 금융과 정치가 아니라, 아이와 시민이 함께 웃는 복합문화도시로 거듭나길 기대합니다.

Q&A

  • Q1. 언제 완공되나요?
    2026년 착공, 2028~2030년 준공 예정입니다.
  • Q2. 어떤 시설이 들어서나요?
    공연장, 전시관, 체험형 교육관, 한강 전망 공간 등이 포함됩니다.
  • Q3. 아이들과 방문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있나요?
    네, 가족 단위 교육·문화 체험 프로그램이 계획되어 있습니다.
  • Q4. 설계 공모 당선작은 언제 발표되나요?
    2025년 11월 6일 결과 발표 예정입니다.
  • Q5. 관련 소식은 어디서 볼 수 있나요?
    서울시 공식 홈페이지와 유튜브 Seoul Live 채널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Dengarkan
Pilih Suara
1x
* Mengubah pengaturan akan membuat artikel dibacakan ulang dari awal.
댓글 쓰기